지난 시간 한정적인 리소스로 인해 미니 PC에 2개의 가상머신을 띄워서 작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선택한 것이 바로 Proxmox였는데요. 해당 포스팅에서는 Proxmox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어서 환경세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Proxmox란?
Proxmox는 가상화 관리를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서버입니다. 설명을 보니 VM외에도 LXC 즉, Linux Containers도 지원해주어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 환경 또한 제공해주는 것 같습니다. 이에 더해 웹 기반의 UI를 제공해주어 쉽게 가상 머신과 컨테이너를 관리할 . 수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이퍼바이저 앞에 "Type1"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하이퍼바이저에 타입이 여러 개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공부를 하고 보니 Type1 HomeLab TF장님이 Type1 하이퍼바이저의 특성을 강조하여 Proxmox를 추천해주신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먼저, 하이퍼바이저는 익히 들어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이퍼바이저는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와 같은 컴퓨팅 리소스를 풀링하여 가상머신(VM)에 재할당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즉, 아래 그림처럼 물리적인 리소스를 각 VM에 재할당하여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와 VM간의 격리를 시켜주는 녀석입니다.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해당 그림이 바로 Type1 하이퍼바이저입니다.
하이퍼바이저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type1)'와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type2)'입니다. 그림으로 보면 조금 더 이해를 동반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의 경우 운영체제 없이 직접 하드웨어 위에서 실행됩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 리소스에 바로 접근하기 때문에 성능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에 비해 Host OS에 대한 리소스 소비가 없으니 보다 가성비있게 가상머신을 나눌 수 있습니다.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의 경우 가상머신을 처음 접할 때 쉽게 접할 수 있는 VirtualBox와 같은 것들입니다. VirtualBox도 기존 운영체제를 밀어버리지 않고 해당 운영체제의 위에서 동작하는 것을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설치와 사용이 간단하기 때문에 가상머신용도로만 사용하지 않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저의 경우는 미니 PC자체를 아예 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 VM 두 개만 띄우고 다른 작업은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Type1 하이퍼바이저를 선택한 것입니다. 베어메탈의 경우 'Proxmox'말고 'ESXi'와 같은 다른 선택지도 있는 것 같은데 오픈소스라는 점에서 Proxmox로 구축할 것입니다. 이제 그럼 실제로 미니PC에 Poxmox를 설치해보겠습니다.
Proxmox 환경 세팅
1. Proxmox 부팅용 USB 세팅
Proxmox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팅용 USB를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니 USB를 먼저 준비해주세요!
Proxmox ISO 다운로드: https://www.proxmox.com/en/downloads
Downloads
Proxmox VE 8.2 ISO Installer Version 8.2-2 File Size 1.39 GB Last Updated August 22, 2024 SHA256SUM c96ad84eacbbcef299ab8f407f9602f832abb5ceb08a9aa288c1e1164df2da97
www.proxmox.com
USB가 준비되었으면 위 링크에서 Proxmox 최신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그리고 이미지를 구워야하니 USB 드라이브를 만들기 위해 Rufus를 설치해줍니다.
Rufus 다운로드: https://rufus.ie/ko/
Rufus - 간편한 방법으로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만들기
Rufus는 USB 키/펜드라이브,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부팅 가능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틸리티입니다. Rufus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
rufus.ie
2. Proxmox 설치
이제 구워진 USB를 환경세팅하고자 하는 PC에 설치해주면 됩니다. 일단 무식하게 찍은 사진을 첨부하지만 아래 사진들보다는 깔끔하게 정리된 다른 블로그 참고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https://blog.ny64.kr/posts/install-proxmox-on-home-server/
가상화 OS Proxmox 설치하기
24시간 돌아가는 나만의 서버! [1]
blog.ny64.kr
예를 들어 위 블로그 분 되게 까리깔쌈하게 설치과정을 정리해주셨더라구요!
3. Proxmox 세팅
어쨌든!! 설치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Proxmox 설정할 때 입력한 계정으로 로그인해줍니다.
이제 VM을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이 완성되었는데 사실 그 전에 해주어야 할 작업이 있습니다. Proxmox는 오픈소스지만 엔터프라이즈 버전도 제공합니다. 이를 비활성화 해주지 않으면 작업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스텝을 밟습니다.
데이터센터(Datacenter) -> homeserver(저의경우) -> 업데이트(updates) -> 리포지토리(Repositories)
빨간 박스 안에 있는 두 녀석을 비활성화 시켜줍니다.
리포지토리 추가
이제 기본적인 설정이 끝났습니다. 오늘은 기본적인 세팅을 끝냈으니 다음 글에서는 VM을 생성해보겠습니다.
'Home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Lab] - 클러스터 관리환경 세팅 (0) | 2024.12.10 |
---|---|
[HomeLab] - k8s세팅 (1) | 2024.11.18 |
[HomeLab] - VM 생성 (1) | 2024.11.16 |
[HomeLab] - 라우터 추가 (0) | 2024.11.12 |
[HomeLab] - 시작 (0) | 2024.11.06 |